벚꽃 |
4월이 되면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해주는 꽃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닌 벚꽃입니다. 진해 군항제를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벚꽃을 즐길 수 있습니다. 바람이 부는 날 벚꽃이 만연한 길을 걷고 있노라면 봄에 마치 눈이 내리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 벚꽂은 일본의 국화로, 우리나라에서는 한때 푸대접을 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한라산 주위에 일본 벚나무보다 오래된 왕벚나무가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 후부터 전국 각지에서 벚나무를 심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일찍부터 벚꽃이 우리나라에 서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풍류의 대상이나 문학작품 속에 나와있는 것을 보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아마도 그 이유는 한꺼번에 활짝 피었다가 약 4~5일이 지나면 한꺼번에 떨어지는 벚꽃의 특성상 군자의 덕을 중시하고 기다림의 미학을 알고 있는 우리 조상들의 정서와 어긋났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벚꽃은 꽃이 피고 꽃이 진 후 뒤이어 잎이 난다고 해서 잎꽃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또 산지에서 널리 자라지만 요즘들어 전국 각지 어느 곳에서 볼 수 있는 꽃이 되었습니다. 4∼5월이 되면 흰색이나 분홍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둥글며 6∼7월이 되면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버찌라고 부릅니다. 유명한 벚꽃놀이 추천 장소 진해 군항제 - 벚꽃놀이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이 진해입니다. 4월이 되면 진해시 전체가 벚꽃으로 덮여 있을 정도 입니다. 군항제라고 하는 행사와 함께 많은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특히 일반인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해군사관학교를 구경할 수 있는 유일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서울 어린이대공원 -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 내 산책로에 1200여 그루의 벚꽃나무가 하얗게 피고 있습니다. 특히 밤이 되면 64만개의 꼬마전구가 불을 밝혀 벚꽃의 화려함을 더해 줍니다. 서울 남산일대 - 장충동 국립극장 뒤 남산 순환도로와 명동입구∼서울타워 구간 등 7.4㎞에서 만발한 벚꽃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후암동 쪽 남산도서관에서 안중근 의사기념관에 이르는 길도 좋다고 합니다. 설악산 진입로 - 대포항에서 도문동, 설악동을 거쳐 소공원까지 가는 길도 4-5월이 되면 벚꽃이 절정을 이룬다고 합니다. 더구나 가는 길목에 한적한 농가와 전원풍경, 설악의 절경이 같이 펼쳐져 있어 아늑한 느낌을 줍니다.
산의 신이라는 오오야마즈미꼬또와 들의 신이라는 구사노히메꼬또가 결혼을 하여 태어난 딸이 고노하나 꾸야히메노미꼬또라고 합니다. 그녀는 니니기노미꼬또에게 시집을 가기 전까지 꽃의 궁전에 살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는 산의 신인 아버지의 명령으로 후지산 꼭대기에서 내려와 종자를 뿌렸습니다. 그러자 안개처럼 많은 벚꽃이 피어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창경궁 벚꽃] 창경궁의 벚꽃은 여느 고궁의 벚꽃과는 달리 관상용으로 가꾼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효종은 조선을 부강한 나라로 만들기 위한 일환으로서 크고 웅장한 궁을 지으려고 했습니다. 그리하여 많은 벚나무를 길러 그 목재를 새롭게 지을 궁재로 쓰려 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효종은 그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지금도 창경궁의 벚꽃들은 돌아가신 효종의 뜻을 아는지 모르는지 봄맞이를 하는 이들에게 웃으며 손짓하고만 있습니다. 창경궁에 심어진 벚나무는 사쿠라 나무입니다. 이 벚나무는 제주도가 원산지이며 한라산 남쪽 중턱 600m 지점에 자생하고 있는데 1932년 일본의 고이즈미 박사에 의해 밝혀졌다고 합니다. 이 꽃이 어떤 경로로 일본에 건너갔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38호로 지리산 화엄사에 있는 수령 300년이 되는 큰 올벚나무가 있습니다. 이것은 우이동에 벚꽃을 심은 구국의 염원을 본따서 인조때 벽암선사가 심은 것이라 합니다. 그 중에서 단 두 그루가 살아 남아 있었는데 한 그루는 약 50년전에 절을 보수할 때 목재로 쓰고 나머지 한 그루만 남아 있다고 합니다. |
'◈꽃 피는계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의 탄생화 제비꽃 (0) | 2008.07.29 |
---|---|
섬진강 벗꽃 (0) | 2008.07.29 |
2월의 탄생화 벗꽃 (0) | 2008.07.29 |
동영상으로보기 (0) | 2008.07.29 |
야생화 이름으로 찾기 (0) | 2008.07.29 |